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인면수심의 뜻입니다. 인면수심은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배은망덕하거나 흉악한 사람을 비유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
인면수심(人面獸心)은 한서 흉노전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인(人)’은 사람, ‘면(面)’은 얼굴, ‘수(獸)’는 짐승, ‘심(心)’은 마음을 의미합니다. 얼굴은 사람이나, 마음은 짐승 같다는 뜻이지요.
남의 은혜를 모르는 배은망덕한 사람 마음이 몹시 흉악하거나 음탕한 사람
인비인(人非人), 의관금수(衣冠禽獸) 등이 유사한 의미로 쓰입니다.
‘친구를 배신한 그의 행동은 인면수심이라 할 만하다.’
Q. 인면수심은 언제 쓰나요?
A. 사람답지 못한 잔혹한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
Q. 인면수심과 의관금수 차이는?
A. 둘 다 짐승 같은 사람을 뜻하지만, 의관금수는 겉모습만 번지르르한 사람을 더 강조합니다.
Q. 유래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A. 후한 시대 반고가 쓴 한서 흉노전에서 흉노족의 잔혹성을 묘사하며 나온 표현입니다.
Q. 현대에도 자주 쓰이나요?
A. 기사나 칼럼 등에서 사람답지 못한 사건을 비판할 때 종종 등장합니다.
Q. 영문 표현은?
A. 'Wolf in sheep's clothing'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진 않습니다.
Q. 한자로 어떻게 쓰나요?
A. 사람 인(人) 얼굴 면(面) 짐승 수(獸) 마음 심(心)입니다.
Q. 인면수심의 반대말은?
A. 인간애(人間愛), 박애(博愛) 같은 표현이 반대 개념에 가깝습니다.
Q. 일상 대화에서 예시?
A. '그는 부모님을 버리다니 정말 인면수심이야.'
Q. 다른 사자성어 추천?
A. 배신 관련으로 배은망덕(背恩忘德), 파렴치(破廉恥)가 있습니다.
Q. 유의해야 할 점?
A. 과도한 비난 표현이므로 공적인 자리에서 사용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어원과 한자 풀이
반응형
주요 의미
반응형
비슷한 표현
반응형
사용 예시
반응형
QnA
반응형
A. 사람답지 못한 잔혹한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
Q. 인면수심과 의관금수 차이는?
A. 둘 다 짐승 같은 사람을 뜻하지만, 의관금수는 겉모습만 번지르르한 사람을 더 강조합니다.
Q. 유래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A. 후한 시대 반고가 쓴 한서 흉노전에서 흉노족의 잔혹성을 묘사하며 나온 표현입니다.
Q. 현대에도 자주 쓰이나요?
A. 기사나 칼럼 등에서 사람답지 못한 사건을 비판할 때 종종 등장합니다.
Q. 영문 표현은?
A. 'Wolf in sheep's clothing'과 비슷하지만 완전히 동일하진 않습니다.
Q. 한자로 어떻게 쓰나요?
A. 사람 인(人) 얼굴 면(面) 짐승 수(獸) 마음 심(心)입니다.
Q. 인면수심의 반대말은?
A. 인간애(人間愛), 박애(博愛) 같은 표현이 반대 개념에 가깝습니다.
Q. 일상 대화에서 예시?
A. '그는 부모님을 버리다니 정말 인면수심이야.'
Q. 다른 사자성어 추천?
A. 배신 관련으로 배은망덕(背恩忘德), 파렴치(破廉恥)가 있습니다.
Q. 유의해야 할 점?
A. 과도한 비난 표현이므로 공적인 자리에서 사용할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결론
인면수심은 사람의 탈을 쓰고도 짐승처럼 행동하는 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오늘날에도 비윤리적 행동을 강하게 비판할 때 쓰이며, 한자를 통해 어원을 이해하면 뜻이 쉽게 기억됩니다. 그럼 여기까지 인면수심의 뜻을 알아봤습니다.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