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지만 정확한 의미를 모르는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많은 분들이 앞자리는 생년월일이라는 걸 알고 계시지만, 뒷자리 7자리가 어떤 의미인지는 잘 모르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에는 성별, 출생지역, 출생신고 순서 등 다양한 정보가 숨어있습니다. 특히 2020년 10월부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지역번호가 폐지되어 새로운 체계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뒷자리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전체 구조

반응형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7자리는 각각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자리는 성별과 출생연도를, 2-5째 자리는 출생지역 코드를, 6째 자리는 출생신고 순서를, 7째 자리는 검증번호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2121311'이라는 뒷자리가 있다면, '2'는 1900년대 출생 여성, '1213'은 출생지역 코드, '1'은 출생신고 순서, 마지막 '1'은 검증번호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7자리의 숫자 하나하나가 모두 특별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입니다.

첫째 자리: 성별과 출생연도의 비밀

반응형

주민등록번호 뒷자리의 첫 번째 숫자는 성별과 출생 세기를 동시에 나타내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한 자리 숫자만으로도 그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1900~1999년 출생 남성
  • 2: 1900~1999년 출생 여성
  • 3: 2000~2099년 출생 남성
  • 4: 2000~2099년 출생 여성
  • 5: 1900~1999년 출생 외국인 남성
  • 6: 1900~1999년 출생 외국인 여성
  • 7: 2000~2099년 출생 외국인 남성
  • 8: 2000~2099년 출생 외국인 여성
  • 9: 1800~1899년 출생 남성 (현재 거의 사용 안함)
  • 0: 1800~1899년 출생 여성 (현재 거의 사용 안함)
  • 2-5째 자리: 출생지역 코드의 의미

    반응형

    2번째부터 5번째까지 4자리 숫자는 출생신고를 한 지역의 코드번호를 나타냅니다. 이는 실제 출생지가 아니라 출생신고를 한 읍·면·동 주민센터의 고유번호입니다.

    주요 지역별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 00~08로 시작
  • 부산: 09~12로 시작
  • 인천: 13~15로 시작
  • 경기도: 16~18로 시작
  • 강원도: 19~20으로 시작
  • 충북: 21~22로 시작
  • 충남: 23~25로 시작
  • 전북: 26~28로 시작
  • 전남: 29~31로 시작
  • 경북: 32~34로 시작
  • 경남: 35~39로 시작
  • 제주: 40으로 시작
  • 하지만 2020년 10월부터는 개인정보 보호와 지역차별 방지를 위해 이 지역코드가 폐지되었습니다. 새로 발급되는 주민등록번호는 첫째 자리 성별코드를 제외하고 모두 임의의 숫자로 부여됩니다.

    6째 자리: 출생신고 순서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6번째 숫자는 해당 지역 주민센터에서 그날 출생신고를 한 순서를 나타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1이나 2를 가지고 있으며, 3 이상인 경우는 출생신고를 늦게 한 경우입니다.

    이 숫자가 클수록 출생신고를 오후 늦게 했거나, 출생 후 시간이 지나서 신고한 경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간혹 허위로 만들어진 주민등록번호의 경우 이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큰 경우가 있습니다.

    7째 자리: 검증번호의 원리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마지막 7번째 숫자는 주민등록번호가 올바른지 확인하는 검증번호입니다. 컴퓨터가 앞의 12자리 숫자를 특정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검증번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앞의 12자리에 각각 2,3,4,5,6,7,8,9,2,3,4,5를 곱합니다
  • 모든 곱셈 결과를 더합니다
  • 그 합을 11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 11에서 나머지를 뺀 값이 검증번호가 됩니다
  • 만약 결과가 10이면 0으로, 11이면 1로 처리됩니다
  • 이러한 검증시스템을 통해 잘못 입력된 주민등록번호나 허위 번호를 걸러낼 수 있습니다.

    2020년 개정된 새로운 체계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2020년 10월부터 시행된 새로운 주민등록번호 체계는 개인정보 보호를 크게 강화했습니다. 기존에는 뒷자리만 봐도 출생지역을 알 수 있어 개인정보 침해와 지역차별의 소지가 있었습니다.

    새로운 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첫째 자리 성별코드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
  • 2-6째 자리는 모두 임의의 숫자로 부여
  • 마지막 자리는 여전히 검증번호로 사용
  • 기존 주민등록번호는 그대로 유지
  • 새로 태어나는 아이들과 주민등록번호 변경자만 새 체계 적용
  • 이러한 변화로 인해 앞으로는 주민등록번호로 출생지역을 추정하기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Q&A 섹션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반응형

    Q: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첫 번째 숫자가 3이면 무슨 의미인가요?
    A: 3은 2000년대에 출생한 남성을 의미합니다. 2000년 1월 1일 이후에 태어난 남성에게 부여됩니다.

    Q: 외국인도 주민등록번호가 있나요?
    A: 외국인등록을 한 외국인에게는 외국인등록번호가 부여됩니다. 첫째 자리가 5,6,7,8인 경우가 외국인을 나타냅니다.

    Q: 2020년 이후 출생한 아이들은 지역을 알 수 없나요?
    A: 맞습니다. 2020년 10월 이후 새로 발급되는 번호는 성별코드를 제외하고 모두 임의 숫자이므로 지역을 알 수 없습니다.

    Q: 주민등록번호 검증번호는 왜 필요한가요?
    A: 입력 오류나 허위 번호를 걸러내기 위한 보안장치입니다. 12자리를 특정 공식에 대입해 나온 값과 일치해야 유효한 번호입니다.

    Q: 1800년대 출생자의 뒷자리 첫 번째 숫자는 무엇인가요?
    A: 남성은 9, 여성은 0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현재는 해당 연령대가 거의 없어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Q: 부산에서 태어났는데 서울에서 출생신고하면 어떻게 되나요?
    A: 출생신고를 한 곳의 지역코드가 부여됩니다. 즉, 서울 지역코드(00~08)가 들어갑니다.

    Q: 같은 날 같은 지역에서 태어난 사람들의 뒷자리는 같나요?
    A: 6번째 자리 출생신고 순서와 7번째 자리 검증번호가 다르므로 완전히 같을 수는 없습니다.

    Q: 주민등록번호를 변경할 수 있나요?
    A: 특별한 사유(개명, 성별변경 등)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며, 변경 시에는 새로운 체계의 번호가 부여됩니다.

    Q: 왜 홀수는 남성, 짝수는 여성인가요?
    A: 1975년 주민등록번호 체계 도입 당시 정해진 규칙으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성별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Q: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로 나이를 정확히 알 수 있나요?
    A: 첫째 자리로 출생 세기는 알 수 있지만, 정확한 나이는 앞자리 생년월일과 함께 봐야 알 수 있습니다.

    Q: 기존 주민등록번호도 새로운 체계로 바뀌나요?
    A: 아닙니다. 기존 번호는 그대로 유지되며, 새로 발급되거나 변경되는 경우에만 새 체계가 적용됩니다.

    Q: 검증번호를 직접 계산해볼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앞의 12자리에 2,3,4,5,6,7,8,9,2,3,4,5를 각각 곱하고 더한 후, 11로 나눈 나머지를 11에서 빼면 됩니다.

    결론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개인의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와 같습니다. 성별과 출생연도부터 출생지역, 출생신고 순서, 검증번호까지 각각의 자리가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0년 10월부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지역코드가 폐지되어 새로운 체계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개인정보 침해와 지역차별을 방지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그럼 여기까지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의미를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