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영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be supposed to'의 뜻과 활용법입니다. 많은 한국 학습자들이 이 표현을 어려워하는데, 사실 일상 대화에서 정말 많이 쓰이는 중요한 표현이에요. 'be supposed to'는 기본적으로 '~해야 한다', '~할 예정이다', '~하기로 되어 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맥에 따라 조금씩 다른 뉘앙스로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해요. 오늘은 이 표현의 다양한 의미와 실제 사용 예시를 통해 완벽하게 마스터해보겠습니다.
be supposed to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하기로 되어 있다'입니다. 이는 어떤 규칙이나 계획, 약속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해요. 예를 들어 'I'm supposed to finish this report by Friday'라고 하면 '나는 금요일까지 이 보고서를 끝내기로 되어 있다'는 뜻이에요.
두 번째 의미는 '~할 것으로 예상된다'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거나 예정되어 있을 때 사용하죠. 'The weather is supposed to be sunny tomorrow'처럼 날씨 예보나 예상에 대해 말할 때 자주 써요.
세 번째로는 '~해야 한다(의무)'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이때는 should나 must와 비슷한 의미를 가져요. 'You're supposed to wear a helmet when riding a bike'처럼 안전 규칙이나 법적 의무를 말할 때 사용합니다.
긍정문에서 be supposed to는 주로 계획이나 약속을 나타내요. 'We're supposed to meet at 3 PM'처럼 만남 약속을 표현할 때 사용하죠. 이때는 '3시에 만나기로 되어 있다'는 의미예요.
예상이나 전망을 말할 때도 사용합니다. 'The new movie is supposed to be really good'처럼 어떤 것에 대한 소문이나 기대를 표현할 때 써요. 이는 '그 새 영화가 정말 좋을 것이라고 한다'는 뜻이에요.
규칙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도 많이 사용해요. 'Students are supposed to turn in their homework on time'처럼 학교나 직장에서의 규칙을 말할 때 자주 쓰입니다.
부정문 'be not supposed to'는 '~하면 안 된다'는 의미예요. 'You're not supposed to use your phone in class'처럼 금지된 행동을 나타낼 때 사용하죠. 이는 '수업 시간에 핸드폰을 사용하면 안 된다'는 뜻이에요.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말할 때도 써요. 'We're not supposed to park here'처럼 주차 금지 구역에서 사용하거나, 'Children are not supposed to stay up late'처럼 아이들에게 하면 안 되는 일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비밀이나 숨겨야 할 정보에 대해서도 사용해요. 'I'm not supposed to tell you this, but...'처럼 비밀을 털어놓기 전에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과거형에서는 지나간 계획이나 약속을 나타내요. 'I was supposed to call you yesterday'는 '어제 너에게 전화하기로 되어 있었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하지 못했다는 뉘앙스가 있어요.
이루어지지 않은 예정을 말할 때도 사용합니다. 'The train was supposed to arrive at 5 PM'처럼 기차가 5시에 도착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지연되었을 때 사용하죠.
과거의 규칙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도 써요. 'We were supposed to wear uniforms in high school'처럼 고등학교 때의 규칙을 회상할 때 사용합니다.
should vs be supposed to: should는 개인적인 조언이나 의견을 나타내는 반면, be supposed to는 규칙이나 기대에 기반한 의무를 나타내요. 'You should study'는 '공부하는 게 좋겠다'는 조언이고, 'You're supposed to study'는 '공부하기로 되어 있다'는 의무예요.
have to vs be supposed to: have to는 강한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내는 반면, be supposed to는 좀 더 부드러운 의무나 기대를 나타내요. 'I have to go'는 '꼭 가야 한다'는 강한 의무이고, 'I'm supposed to go'는 '가기로 되어 있다'는 약속이나 계획이에요.
will vs be supposed to: will은 확실한 미래를 나타내는 반면, be supposed to는 계획이나 예상을 나타내요. 'It will rain'은 '비가 올 것이다'는 확신이고, 'It's supposed to rain'은 '비가 올 예정이다'는 예보예요.
일상 대화에서는 'What are you supposed to do today?'처럼 오늘 할 일에 대해 물어볼 때 사용해요. 이는 'What's your plan for today?'와 비슷한 의미예요.
직장에서는 'The meeting is supposed to start at 10 AM'처럼 회의 시간을 확인할 때 사용하죠. 또한 'I'm supposed to submit the report by noon'처럼 업무 마감일을 말할 때도 써요.
학교에서는 'We're supposed to read chapter 5 for homework'처럼 숙제나 과제에 대해 말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Students are not supposed to cheat on exams'처럼 학교 규칙을 말할 때도 써요.
be supposed to를 말할 때는 연음이 중요해요. 'supposed to'는 실제로는 /səˈpoʊzd tə/로 발음되어 '서포즈드 투'라고 들려요. 't'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고 'd' 소리가 강하게 나요.
빠른 대화에서는 'supposed to'가 'supposta'처럼 들리기도 해요.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원어민들도 이렇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요.
강세는 'supposed'의 두 번째 음절인 'posed'에 두어야 해요. 전체적으로 'be suˈPOSED to'처럼 발음하면 됩니다.
suppose와 supposed 혼동: 'I suppose'는 '나는 생각한다'는 의미이고, 'I'm supposed to'는 '나는 ~하기로 되어 있다'는 의미예요. 완전히 다른 표현이니 주의하세요.
to 다음에 동사원형 사용: be supposed to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해요. 'I'm supposed to going'이 아니라 'I'm supposed to go'가 맞아요.
과거형에서 실수: 과거에 하기로 되어 있었던 일을 말할 때는 'was/were supposed to'를 사용해야 해요. 'I supposed to go yesterday'가 아니라 'I was supposed to go yesterday'가 맞습니다.
Q: be supposed to와 should의 차이점이 뭔가요?
A: should는 개인적인 조언이나 의견을 나타내고, be supposed to는 규칙이나 기대에 기반한 의무를 나타내요. should가 더 주관적이고 be supposed to가 더 객관적이라고 볼 수 있어요.
Q: 부정문은 어떻게 만드나요?
A: be 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be not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예를 들어 'You're not supposed to smoke here'처럼 사용합니다.
Q: 과거형으로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was 또는 were를 사용해서 'was/were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I was supposed to meet him yesterday'처럼 사용하죠.
Q: suppose와 supposed to는 같은 건가요?
A: 아니에요. suppose는 '생각하다'는 의미의 동사이고, be supposed to는 '~하기로 되어 있다'는 의미의 표현이에요. 완전히 다른 용법입니다.
Q: to 다음에 어떤 형태의 동사가 와야 하나요?
A: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해요. 'I'm supposed to study'처럼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세요.
Q: 의문문은 어떻게 만드나요?
A: be 동사를 앞으로 빼서 'Are you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Are you supposed to work today?'처럼 사용합니다.
Q: 어떤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나요?
A: 일상 대화에서 계획, 약속, 규칙에 대해 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돼요. 특히 직장이나 학교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에요.
Q: 발음할 때 주의할 점이 있나요?
A: 'supposed to'는 연음으로 인해 '서포즈드 투'처럼 들려요. 't' 소리는 거의 나지 않고 'd' 소리가 강하게 나는 점을 기억하세요.
Q: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이 있나요?
A: 'ought to', 'should', 'have to' 등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각각 뉘앙스가 조금씩 달라요. be supposed to는 규칙이나 기대에 기반한 의무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어요.
Q: 격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격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해요. 하지만 매우 공식적인 문서에서는 'should' 나 'must'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어요.
Q: 한국어로 번역할 때 어떤 표현이 가장 적절한가요?
A: 문맥에 따라 '~하기로 되어 있다', '~해야 한다', '~할 예정이다' 등으로 번역할 수 있어요. 상황에 맞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be supposed to의 기본 의미
반응형
두 번째 의미는 '~할 것으로 예상된다'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되거나 예정되어 있을 때 사용하죠. 'The weather is supposed to be sunny tomorrow'처럼 날씨 예보나 예상에 대해 말할 때 자주 써요.
세 번째로는 '~해야 한다(의무)'의 의미로도 사용됩니다. 이때는 should나 must와 비슷한 의미를 가져요. 'You're supposed to wear a helmet when riding a bike'처럼 안전 규칙이나 법적 의무를 말할 때 사용합니다.
긍정문에서의 사용법
반응형
예상이나 전망을 말할 때도 사용합니다. 'The new movie is supposed to be really good'처럼 어떤 것에 대한 소문이나 기대를 표현할 때 써요. 이는 '그 새 영화가 정말 좋을 것이라고 한다'는 뜻이에요.
규칙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도 많이 사용해요. 'Students are supposed to turn in their homework on time'처럼 학교나 직장에서의 규칙을 말할 때 자주 쓰입니다.
부정문에서의 사용법
반응형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말할 때도 써요. 'We're not supposed to park here'처럼 주차 금지 구역에서 사용하거나, 'Children are not supposed to stay up late'처럼 아이들에게 하면 안 되는 일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비밀이나 숨겨야 할 정보에 대해서도 사용해요. 'I'm not supposed to tell you this, but...'처럼 비밀을 털어놓기 전에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과거형 was/were supposed to
반응형
이루어지지 않은 예정을 말할 때도 사용합니다. 'The train was supposed to arrive at 5 PM'처럼 기차가 5시에 도착하기로 되어 있었지만 지연되었을 때 사용하죠.
과거의 규칙이나 의무를 나타낼 때도 써요. 'We were supposed to wear uniforms in high school'처럼 고등학교 때의 규칙을 회상할 때 사용합니다.
비슷한 표현과의 차이점
반응형
have to vs be supposed to: have to는 강한 의무나 필요성을 나타내는 반면, be supposed to는 좀 더 부드러운 의무나 기대를 나타내요. 'I have to go'는 '꼭 가야 한다'는 강한 의무이고, 'I'm supposed to go'는 '가기로 되어 있다'는 약속이나 계획이에요.
will vs be supposed to: will은 확실한 미래를 나타내는 반면, be supposed to는 계획이나 예상을 나타내요. 'It will rain'은 '비가 올 것이다'는 확신이고, 'It's supposed to rain'은 '비가 올 예정이다'는 예보예요.
실생활 활용 예시
반응형
직장에서는 'The meeting is supposed to start at 10 AM'처럼 회의 시간을 확인할 때 사용하죠. 또한 'I'm supposed to submit the report by noon'처럼 업무 마감일을 말할 때도 써요.
학교에서는 'We're supposed to read chapter 5 for homework'처럼 숙제나 과제에 대해 말할 때 자주 사용합니다. 'Students are not supposed to cheat on exams'처럼 학교 규칙을 말할 때도 써요.
발음과 연음 팁
반응형
빠른 대화에서는 'supposed to'가 'supposta'처럼 들리기도 해요.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니 너무 신경 쓰지 마세요. 원어민들도 이렇게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요.
강세는 'supposed'의 두 번째 음절인 'posed'에 두어야 해요. 전체적으로 'be suˈPOSED to'처럼 발음하면 됩니다.
자주 하는 실수들
반응형
to 다음에 동사원형 사용: be supposed to 다음에는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해요. 'I'm supposed to going'이 아니라 'I'm supposed to go'가 맞아요.
과거형에서 실수: 과거에 하기로 되어 있었던 일을 말할 때는 'was/were supposed to'를 사용해야 해요. 'I supposed to go yesterday'가 아니라 'I was supposed to go yesterday'가 맞습니다.
QnA 섹션
반응형
A: should는 개인적인 조언이나 의견을 나타내고, be supposed to는 규칙이나 기대에 기반한 의무를 나타내요. should가 더 주관적이고 be supposed to가 더 객관적이라고 볼 수 있어요.
Q: 부정문은 어떻게 만드나요?
A: be 동사 뒤에 not을 붙여서 'be not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예를 들어 'You're not supposed to smoke here'처럼 사용합니다.
Q: 과거형으로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was 또는 were를 사용해서 'was/were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I was supposed to meet him yesterday'처럼 사용하죠.
Q: suppose와 supposed to는 같은 건가요?
A: 아니에요. suppose는 '생각하다'는 의미의 동사이고, be supposed to는 '~하기로 되어 있다'는 의미의 표현이에요. 완전히 다른 용법입니다.
Q: to 다음에 어떤 형태의 동사가 와야 하나요?
A: 반드시 동사원형이 와야 해요. 'I'm supposed to study'처럼 동사의 기본형을 사용하세요.
Q: 의문문은 어떻게 만드나요?
A: be 동사를 앞으로 빼서 'Are you supposed to...?' 형태로 만들어요. 'Are you supposed to work today?'처럼 사용합니다.
Q: 어떤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나요?
A: 일상 대화에서 계획, 약속, 규칙에 대해 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돼요. 특히 직장이나 학교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이에요.
Q: 발음할 때 주의할 점이 있나요?
A: 'supposed to'는 연음으로 인해 '서포즈드 투'처럼 들려요. 't' 소리는 거의 나지 않고 'd' 소리가 강하게 나는 점을 기억하세요.
Q: 비슷한 의미의 다른 표현이 있나요?
A: 'ought to', 'should', 'have to' 등이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각각 뉘앙스가 조금씩 달라요. be supposed to는 규칙이나 기대에 기반한 의무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어요.
Q: 격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 네, 격식적인 상황에서도 사용 가능해요. 하지만 매우 공식적인 문서에서는 'should' 나 'must' 등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어요.
Q: 한국어로 번역할 때 어떤 표현이 가장 적절한가요?
A: 문맥에 따라 '~하기로 되어 있다', '~해야 한다', '~할 예정이다' 등으로 번역할 수 있어요. 상황에 맞는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결론
지금까지 be supposed to의 다양한 의미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에서 정말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문법 요소예요. 계획, 약속, 규칙, 기대 등을 나타낼 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면 영어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거예요. 처음에는 어색할 수 있지만 꾸준히 연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입에서 나올 거예요. 그럼 여기까지 be supposed to 뜻과 활용법을 알아봤습니다.반응형
반응형